메뉴명
푸른비전, 청춘의 열정이 살아 숨쉬는 강남대학교
사회복지학전공 교과목
학년-학기

교과목명(영문명)

교과목설명

권장 선이수

교과목

1-1

사회복지학개론

(Introduction to Social Welfare)

사회복지의 학문적 연구와 실천에 관한 지식과 가치를 개괄적으로 소개

 

1-2

인간행동과사회환경

(Human Behavior & Social Environment)

사회복지실천의 기초지식이라고 할 수 있는 인간행동 및 인간 발달, 사회환경체계에 관한 이론적 기반을 형성

 
2-1

사회복지실천론

(Social Work Practice)

사회복지실천 전반에 대한 기초지식과 개인과 가족, 집단을 대상으로 한 사회복지 실천모델에 관한 기초지식을 통합적인 시각에서 고찰. 구체적으로 사회복지 실천의 기초 철학과 가치, 통합적인 시각, 사회복지실천관계론 및 과정론, 사회복지실천 대상별 실천모델, 사례관리 등 검토

 

사회복지윤리와철학

(Philosophy and Ethics in Social Work)

사회복지실천의 기본원리인 가치와 윤리, 그리고 철학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높이고, 전문가로서 갖추어야 할 가치관, 윤리관 등을 습득하도록 함. 사회복지실천에서 직·간접적으로 제기되는 자기 결정권, 비밀보장, 알 권리, 자원분배의 적절성 등에 대한 윤리적인 관점 등에 대해 논의

 

사회복지정책론

(Social Welfare Policy)

사회복지정책이 갖는 개념과 특성을 이해하고, 현장과 실무에서 어떻게 접목할 것인지 학습

 

사회복지역사

(History of Social Welfare)

사회복지제도를 역사적인 관점에서 재조명함으로써 과거의 사회복지에 대한 이해와 미래 사회복지의 전개 방향에 대해 통찰

 
2-2

사회복지실천기술론

(Skill & Techniques for Social Work Practice)

개인과 가족, 집단의 사회 기능을 향상하기 위해 사회복지사가 숙지해야 하는 다양한 실천기술, 기법, 지침 등에 초점 맞춤. 특히 사례연구와 역할연습을 통해 실천기술, 기법, 지침을 실천 대상에게 적용하며, 실제에 개입하고 평가하는 연습을 강조

사회복지실천론

노인복지론

(Social Work with the Aged)

현대사회에 있어서 노인 문제의 원인, 노인 인구의 인구 사회학적 배경 그리고 노화에 관한 유전적, 생리학적, 심리학적 이론을 고찰. 노후의 소득보장, 의료보장, 은퇴 및 취업, 주택 등의 노후 관련 사회보장 및 제도 이해

 

정신건강론

(Mental Health)

현대인의 환경적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 생애주기에 따른 다양한 정신건강의 문제를 이해하고, 정신건강 관련 사회복지 실천방법을 학습함으로써 정신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지식과 실천능력의 습득을 도모

 

지역사회복지론

(Community Welfare and Practice)

지역복지의 역사, 개념, 실천모델, 실천방법 및 기술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습득하고, 지역사회 사정과 조사를 통하여 현대 지역사회가 당면한 문제와 실천과제를 파악함으로써 사회복지 중 범위 영역에서 전문사회복지사로서의 지식과 기술, 자질과 역량을 함양

 

사회복지행정론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복지서비스 제공기관으로서의 사회복지조직에 대해 이해하고 복지행정의 이론적 학습을 바탕으로 실제적 이론과 기술 학습

 
3-1

사례관리론

(Case Management)

지역사회 안에서 다양한 욕구를 가진 사람들의 복지를 최대한 보장하는데 통합적 개입을 목적으로 하는 사례관리의 개념과 역사, 다양한 모형과 과정, 평가에 대한 이해를 도모

 

집단사회복지실천

(Group Social Work Practice)

집단을 통한 사회사업의 실천방법과 그 기술을 배우고 익히게 함으로써 학생 개개인의 사회적 기능을 향상시켜 일반적인 사회조직의 집단 활용을 용이하게 하며, 나아가 학생들로 하여금 전문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키워 집단사회사업 실제에서 요구되는 역량 함양

 

프로그램 개발과평가

(Program Development & Evaluation)

거시적 관점에서 사회문제를 분석하고 욕구를 파악하여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사회복지프로그램을 계획하고 관리하며 평가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을 습득

 

사회복지와문화다양성

(Social Welfare and Cultural Diversity)

다문화 사회와 다문화 가족의 개념 및 정의, 다문화 가족의 문화적응 이론, 다문화 복지의 개념 및 접근방법, 그리고 미국, 일본 등 해외와 국내에서의 다문화 복지제도 고찰

 

사회복지조사론

(Social Welfare Research)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양적, 질적 조사방법론을 학습

 
3-2

사회복지현장실습 I

(Social Work Field Practicum I)

사회복지현장실습을 통해 사회복지실천의 가치 및 윤리, 이론적 지식, 사회복지 실천과정 및 실천기술을 실제로 적용함으로써 사회복지사로서의 전문적 자질과 실천능력을 훈련

 

가족상담및가족치료

(Family Counselling and Family Therapy)

가족 구성원의 개인적 성장과 전체 가족으로서 문제발생의 예상과 해결능력 및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돕는 전문적 실천기술인 가족치료의 과정 및 기법을 훈련

 

사회복지자료분석론

(Data Analysis for Social Welfare)

자료 분석의 기본원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통계의 기본 개념과 방법을 이해하고 컴퓨터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자료 분석 실습 병행

사회복지조사론

사회복지와인권

(Social Welfare and Human Rights)

사회복지가 곧 인권이라는 절대 명제임에도 사회복지서비스에서 인권은 크게 다뤄지지 못한 것이 우리의 현실임. 특히 사회복지 제도가 인간의 권리를 보장하기보다는 인간 욕구나 문제해결에 치중함으로써 권리 중심의 복지정책과 실천이 충실하게 해결되지 못하고 있기에 시대와 공간을 넘어서서 인류에게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절대적 수준에서의 인간 가치에 대한 인권개념과 의식 제고를 함양하고자 함

 
4-1

현장실습(단기)

  

현장실습(장기)Ⅰ

 

 

현장실습(장기)Ⅱ

 

 

현장실습(장기)Ⅲ

 

 

현장실습(장기)Ⅳ

 

 

사회복지현장실습 II

(Social Work Field Practicum II)

사회복지기관 현장실습을 통하여 사회사업 방법의 개념, 윤리, 이론, 전문적 방법과 기술을 현장에 적용할 기회 제공하고, 전문사회복지사로서의 역량과 사회문제에 대한 통찰력을 개발하고 문제해결의 창조적 책임을 익힘

사회복지현장실습 I

사회복지상담이론과실제

(Theories and Practice of Social Work Counseling)

상담실습과 사례분석 등을 통하여 사회복지 상담에서의 전문성 향상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기술론

학교사회복지론

(School Social Work)

학교 교육과 학교현장, 학생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학생의 인권을 보호하고 복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학교사회복지의 전문적인 가치, 실천기술, 이론과 모델들,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 습득

 

복지국가론

(Welfare State and Social Welfare)

복지국가의 역사적 기원, 국가와 복지의 관계, 복지국가 위기론 및 복지국가의 변화와 재편의 거시적 맥락을 이해

사회복지정책론
4-2

현장실습(단기)

  

현장실습(장기)Ⅰ

 

 

현장실습(장기)Ⅱ

 

 

현장실습(장기)Ⅲ

 

 

현장실습(장기)Ⅳ

 

 

호스피스와 죽음학

(Hospice and Thanatology)

현대 장수사회에서 인간이 어떻게 하면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인 고통이 없이 죽음에 대한 불안이나 두려움 없이 편안하게 죽어갈 수 있는가와 이를 위한 사회복지의 역할에 대해 연구

 

사회복지 실천과평가

(Social Work Practice and Evaluation)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수행되는 임상 사례에 대한 분석과 임상평가에서 강조되는 접근에 대하여 이해와 실습을 수행

사회복지조사론 자료분석론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중독과 사회복지

(Substance dependence and social work)

알콜, 마약, 도박, 인터넷 중독 등의 다양한 물질 중독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과 중독의 원인에 대하여 학습. 또한 중독 상담의 선별 및 진단, 상담이론과 기술을 습득, 중독에 따른 가족 문제 등에 대한 이해를 통해 중독문제에 대한 사회복지 실천적 개입의 필요성 및 그 개입방법을 습득

 

 

사회복지학전공(야) 교과목
학년-학기

교과목명(영문명)

교과목설명

권장 선이수

교과목

1-1

사회복지학개론

(Introduction to Social Welfare)

사회복지의 학문적 연구와 실천에 관한 지식과 가치를 개괄적으로 소개

 

1-2

인간행동과사회환경

(Human Behavior & Social Environment)

사회복지실천의 기초지식이라고 할 수 있는 인간행동 및 인간 발달, 사회환경체계에 관한 이론적 기반을 형성

 
2-1

사회복지윤리와철학
(Philosophy and Ethics in Social Work)

사회복지실천의 기본원리인 가치와 윤리, 그리고 철학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높이고, 전문가로서 갖추어야 할 가치관, 윤리관 등을 습득하도록 함. 사회복지실천에서 직·간접적으로 제기되는 자기 결정권, 비밀보장, 알 권리, 자원분배의 적절성 등에 대한 윤리적인 관점 등에 대해 논의

 

사회복지실천론

(Social Work Practice)

사회복지실천 전반에 대한 기초지식과 개인과 가족, 집단을 대상으로 한 사회복지 실천모델에 관한 기초지식을 통합적인 시각에서 고찰. 구체적으로 사회복지 실천의 기초 철학과 가치, 통합적인 시각, 사회복지실천관계론 및 과정론, 사회복지실천 대상별 실천모델, 사례관리 등 검토

 

사회복지역사

(History of Social Welfare)

사회복지제도를 역사적인 관점에서 재조명함으로써 과거의 사회복지에 대한 이해와 미래 사회복지의 전개 방향에 대해 통찰

 

사회복지정책론

(Social Welfare Policy)

사회복지정책이 갖는 개념과 특성을 이해하고, 현장과 실무에서 어떻게 접목할 것인지 학습

 
2-2

사회복지실천기술론

(Skill & Techniques for Social Work Practice)

개인과 가족, 집단의 사회 기능을 향상하기 위해 사회복지사가 숙지해야 하는 다양한 실천기술, 기법, 지침 등에 초점 맞춤. 특히 사례연구와 역할연습을 통해 실천기술, 기법, 지을 실천 대상에게 적용하며, 실제에 개입하고 평가하는 연습을 강조

사회복지실천론

노인복지론

(Social Work with the Aged)

현대사회에 있어서 노인 문제의 원인, 노인 인구의 인구 사회학적 배경 그리고 노화에 관한 유전적, 생리학적, 심리학적 이론을 고찰. 노후의 소득보장, 의료보장, 은퇴 및 취업, 주택 등의 노후 관련 사회보장 및 제도 이해

 

정신건강론

(Mental Health)

현대인의 환경적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 생애주기에 따른 다양한 정신건강의 문제를 이해하고, 정신건강 관련 사회복지 실천방법을 학습함으로써 정신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지식과 실천능력의 습득을 도모

 

지역사회복지론

(Community Welfare and Practice)

지역복지의 역사, 개념, 실천모델, 실천방법 및 기술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습득하고, 지역사회 사정과 조사를 통하여 현대 지역사회가 당면한 문제와 실천과제를 파악함으로써 사회복지 중 범위 영역에서 전문사회복지사로서의 지식과 기술, 자질과 역량을 함양

 

사회복지행정론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복지서비스 제공기관으로서의 사회복지조직에 대해 이해하고 복지행정의 이론적 학습을 바탕으로 실제적 이론과 기술 학습

 
3-1

사례관리론

(Case Management)

지역사회 안에서 다양한 욕구를 가진 사람들의 복지를 최대한 보장하는데 통합적 개입을 목적으로 하는 사례관리의 개념과 역사, 다양한 모형과 과정, 평가에 대한 이해를 도모

 

집단사회복지실천

(Group Social Work Practice)

집단을 통한 사회사업의 실천방법과 그 기술을 배우고 익히게 함으로써 우선 학생 개개인의 사회적 기능을 향상시켜 일반적인 사회조직의 집단 활용을 용이하게 하며, 나아가서 학생들로 하여금 전문적인 문제해결 능력을 함양시켜 집단사회사업 실제에서 요구되는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평가

(Program Development & Evaluation)

거시적 관점에서 사회문제를 분석하고 욕구를 파악하여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사회복지프로그램을 계획하고 관리하며 평가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을 습득

 

사회복지와문화다양성

(Social Welfare and Cultural Diversity)

다문화 사회와 다문화 가족의 개념 및 정의, 다문화 가족의 문화적응 이론, 다문화 복지의 개념 및 접근방법, 그리고 미국, 일본 등 해외와 국내에서의 다문화 복지제도 고찰

 

사회복지조사론

(Social Welfare Research)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양적, 질적 조사방법론을 학습

 
3-2

사회복지현장실습 I

(Social Work Field Practicum I)

사회복지현장실습을 통해 사회복지실천의 가치 및 윤리, 이론적 지식, 사회복지 실천과정 및 실천기술을 실제로 적용함으로써 사회복지사로서의 전문적 자질과 실천능력을 훈련

 

사회복지법제와실천

(Social Welfare  Law and Practice)

사회복지법의 기본시각으로서 사회복지법의 개념, 생존권, 사회복지의 가치와 목적 및 일반 원리를 고찰하고 사회복지법제의 생성과정과 범위 및 구조를 파악한 후, 우리나라 사회복지법의 분야별 법 내용들을 학습하여 사회복지 프로그램이 어떠한 법제 아래서 수행되어지는가를 이해함으로서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법 내용을 응용하는 능력을 향상

 

사회복지자료분석론

(Data Analysis for Social Welfare)

자료 분석의 기본원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통계의 기본 개념과 방법을 이해하고 컴퓨터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자료 분석 실습 병행

사회복지조사론

NGO와NPO
(NGO & NPO)

비영리조직, 비정부조직, 그리고 시민사회의 정의, 변천사, 특성, 의의, 발전방안, 사례 연구, 그리고 과제 등에 관해 논의

 
4-1

현장실습(단기)

  

현장실습(장기)Ⅰ

 

 

현장실습(장기)Ⅱ

 

 

현장실습(장기)Ⅲ

 

 

현장실습(장기)Ⅳ

 

 

사회복지현장실습 II

(Social Work Field Practicum II)

사회복지기관 현장실습을 통하여 사회사업 방법의 개념, 윤리, 이론, 전문적 방법과 기술을 현장에 적용할 기회 제공하고, 전문사회복지사로서의 역량과 사회문제에 대한 통찰력을 개발하고 문제해결의 창조적 책임을 익힘

사회복지현장실습 I

학교사회복지론

(School Social Work)

학교 교육과 학교현장, 학생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학생의 인권을 보호하고 복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학교사회복지의 전문적인 가치, 실천기술, 이론과 모델들,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 습득

 

복지기술의실제

(Practice of Welfare Technology)

사회서비스 현장에서 사용되는 주요 복지 기술을 학습하고 이를 기반으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기름복지기술을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이슈를 학습하고, 올바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역량을 개발

복지기술이 사회복지 현장에 가져오는 변화를 이해하고, 디지털기술을 통해 사회서비스를 혁신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역량을 개발

 

복지국가론

(Welfare State and Social Welfare)

복지국가의 역사적 기원, 국가와 복지의 관계, 복지국가 위기론 및 복지국가의 변화와 재편의 거시적 맥락을 이해

사회복지정책론
4-2

현장실습(단기)

  

현장실습(장기)Ⅰ

 

 

현장실습(장기)Ⅱ

 

 

현장실습(장기)Ⅲ

 

 

현장실습(장기)Ⅳ

 

 

호스피스와 죽음학

(Hospice and Thanatology)

현대 장수사회에서 인간이 어떻게 하면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인 고통이 없이 죽음에 대한 불안이나 두려움 없이 편안하게 죽어갈 수 있는가와 이를 위한 사회복지의 역할에 대해 연구

 

사회복지실천과평가

(Social Work Practice and Evaluation)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수행되는 임상 사례에 대한 분석과 임상평가에서 강조되는 접근에 대하여 이해와 실습을 수행

사회복지조사론 자료분석론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중독과사회복지

(Substance dependence and social work)

알콜, 마약, 도박, 인터넷 중독 등의 다양한 물질 중독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과 중독의 원인에 대하여 학습. 또한 중독 상담의 선별 및 진단, 상담이론과 기술을 습득, 중독에 따른 가족 문제 등에 대한 이해를 통해 중독문제에 대한 사회복지 실천적 개입의 필요성 및 그 개입방법을 습득